본문 바로가기

저출산 원인과 문제점 대책은?

○★☆★☆○ 2020. 5. 29.
728x90

저출산이란 사회 전반적으로 아이를 적게 낳아 출산율이 감소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0.9" 이 숫자는 바로 최근 1분기 우리나라 합계출산율 수치 입니다.

1도 안되는 이숫자가 의미하는 심각성을 인식하고 저출산 원인과 문제점, 그리고 어떤 대책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저출산의 정의와 우리나라 현황

저출산이란 출산율을 나타내는 지표인 합계출산율이 인구 대체수준을 밑돌게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합계출산율(TFR, Total Fertility Rate) :

여성 1명이 평생동안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나타낸 지표. 연령별 출산율(ASFR)의 총합. 출산력 수준을 나타내는 대표적 지표.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0.9

쉽게 말하면 가임기간의 여성 1명이 평균 1명의 아이도 낳지않을거라 예상이 가능한 수치입니다.

이는 OECD 회원국 중 최하위라고 합니다.

통계청 자료를 살펴보시죠.

 

저출산 원인과 문제점-합계출산율 지표

 

연도별 추이를 살펴보면,

 

1960년대

출산율 "6"에 육박. 인구증가각 경제성장을 억제한다는 인식으로 적극적 출산억제정책 실시.

 

1970년대

급격한 산업화로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증가하면서 출산율 급감.

 

1980년대

출산율이 인구대체 수준인 "2.1" 이하로 떨어짐.

 

1990년대 이후~ 현재

90년대 이후 출산억제정책은 폐지되었으나 출산율은 지속적 감소

 

저출산 원인과 문제점 아빠와아이

 

저출산 원인과 문제점 대책은?

2. 저출산 원인

 
이러한 저출산 현상은 아래와 같은 문화적, 경제적, 사회적 변화에 그 원인이 있습니다.
 
①가족의 기능 및 형태의 변화
②자녀 양육에 따른 생활비 및 교육비 증가
③고용 불안정의 심화로 인한 결혼 연기와 출산 기피 문화의 확산
④결혼과 육아를 필수가 아닌 선택으로 보는 시각의 확산
⑤자녀 양육에 대한 가치관 변화
⑥만혼으로 인해 여성이 평생 낳는 아이의 수 감소

 

   
저출산 원인과 문제점 - 아이사진
저출산 원인과 문제점-엄마와아이

 

3. 저출산 문제점

저출산 현상은 필연적으로 다양한 문제점을 유발합니다.

 

①경제 활동 인구가 감소하여 경제 성장 둔화, 경제규모의 축소
②고령화에 따른 노년층에 대한 부양부담 증가
③소비재 산업의 쇠퇴
④물가상승 및 노인 복지비용 증대
⑤인구감소와 수도권 및 도시로의 인구집중으로 농촌지역 쇠퇴
 
저출산 원인과 문제점-노인문제

 

4. 저출산 대책

우리나라의 저출산 현상은 위에서 살펴봤듯이 문화적, 경제적, 사회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준 것입니다. 

정부와 지자체에서 다양한 출산장려정책과 가족을 단위로 하는 복지정책들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저출산 현상을 늦추거나 멈추기엔 힘겨워 보입니다.

 

저출산 원인과 문제점-가족사진
저출산 원인과 문제점-가족사진

 

마치며

이상으로 저출산 원인과 문제점, 저출산 대책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합계출산율 "0.9"라는 초 저출산 국가가 되어버린 한국.

아직까진 이 숫자가 의미하는 심각성이 절실히 느껴지지 않기에, 저출산 문제에대해 간과하고 있는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가 관심을 가지고 생각해봐야 할 문제입니다.

 

 

 

 

 

 

300x25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