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원인과 문제점 대책은?
저출산이란 사회 전반적으로 아이를 적게 낳아 출산율이 감소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0.9" 이 숫자는 바로 최근 1분기 우리나라 합계출산율 수치 입니다.
1도 안되는 이숫자가 의미하는 심각성을 인식하고 저출산 원인과 문제점, 그리고 어떤 대책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저출산의 정의와 우리나라 현황
저출산이란 출산율을 나타내는 지표인 합계출산율이 인구 대체수준을 밑돌게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합계출산율(TFR, Total Fertility Rate) :
여성 1명이 평생동안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나타낸 지표. 연령별 출산율(ASFR)의 총합. 출산력 수준을 나타내는 대표적 지표.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0.9"
쉽게 말하면 가임기간의 여성 1명이 평균 1명의 아이도 낳지않을거라 예상이 가능한 수치입니다.
이는 OECD 회원국 중 최하위라고 합니다.
통계청 자료를 살펴보시죠.
연도별 추이를 살펴보면,
1960년대
출산율 "6"에 육박. 인구증가각 경제성장을 억제한다는 인식으로 적극적 출산억제정책 실시.
1970년대
급격한 산업화로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증가하면서 출산율 급감.
1980년대
출산율이 인구대체 수준인 "2.1" 이하로 떨어짐.
1990년대 이후~ 현재
90년대 이후 출산억제정책은 폐지되었으나 출산율은 지속적 감소
저출산 원인과 문제점 대책은?
2. 저출산 원인
3. 저출산 문제점
저출산 현상은 필연적으로 다양한 문제점을 유발합니다.
4. 저출산 대책
우리나라의 저출산 현상은 위에서 살펴봤듯이 문화적, 경제적, 사회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준 것입니다.
정부와 지자체에서 다양한 출산장려정책과 가족을 단위로 하는 복지정책들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저출산 현상을 늦추거나 멈추기엔 힘겨워 보입니다.
마치며
이상으로 저출산 원인과 문제점, 저출산 대책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합계출산율 "0.9"라는 초 저출산 국가가 되어버린 한국.
아직까진 이 숫자가 의미하는 심각성이 절실히 느껴지지 않기에, 저출산 문제에대해 간과하고 있는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가 관심을 가지고 생각해봐야 할 문제입니다.
'트렌트 팝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빅히트 엔터테인먼트 상장예심통과 하반기 코스피입성! (0) | 2020.08.07 |
---|---|
빗길 안전운전 수칙 꼭 기억하세요 (0) | 2020.08.05 |
2020년 신용등급제 1000점 만점 신용점수제로 전환 확인사항! (0) | 2020.08.03 |
닥터앤서 인공지능 의료 소프트웨어 인허가 진행현황 (0) | 2020.08.02 |
2020년 6월 가계대출 동향 (0) | 2020.08.02 |
2020년 8월 배경화면 4K 고화질 무료 다운로드 (0) | 2020.07.31 |
개인회생 대출상품 소개 (0) | 2020.07.27 |
혼성그룹 싹스리 논란의 이유는? (0) | 2020.07.22 |
댓글